kindex는 한국 투자신탁 운용의 브랜드고, tiger는 미래에셋자산이 운용하는 브랜드다. 상장시킨 증권사 이름을 종목 이름 맨 앞에다가 걸어놓은 것.
어떤 증권사가 상장시켰는지 보다는 상품 구성 정보와 몇 가지 수치들을 비교해서 봐야 한다.
제일 중요한
kindex s&p 500 / tiger s&p 500 비교 *기준: 2022. 1.10.
운용자산규모(AUM)
5,706억 / 1조 2,142억
신탁보수(%)
총 0.07 / 총 0.07
최근 6개월 평균 거래량(주)
336.66천 / 846.5천
상장 주식 수(주)
40,100,000 / 86,000,000
추적오차율
0.11/ 0.28
순자산가치(NAV)와 괴리율(%)
0.14 / 0.13
주당 단가(2022. 1. 11. 기준)
14,150원 / 14,050
나는 2020년부터 주식에 투자하고 있었고 어디서 s&p 500이 좋다고 들어서 차근차근 샀었는데..... 그게 kindex였다.
aum 규모와 평균 거래량, 상장 주식 수를 더 빨리 파악했다면 tiger 쪽으로 매집했을 것 같다.
각 종목에 대한 개요
kindex s&p 500
운용사 브랜드인 kindex 뒤에 오는 s&p 500은 추종하는 지수가 s&p 500 index라는 말이다.
미국 상장 대형주 500개로 구성되어 있다(상장일: 2020년 8월 7일).
해외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에 집합투자재산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한다.
500 종목 중 소프트웨어 비중이 가장 높고, 미디어, 반도체, 기술, IT 등이다.
주식 수(계약 수): APPLE Inc가 450, MICROSOFT가 217, BANK OF AMERICA CORP가 208 등.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투자하는 해외 미국 ETF는 상한가와 하한가 제한이 없지만, 이 상품은 국내에 상장된 것이다 보니 ±30% 가격제한폭이 있다.
배당락일은 매년 1월, 4월, 7월, 10월이다.
tiger s&p 500
s&p 500 index 지수를 추종한다.
2020년 8월 7일 상장했다. 미국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60% 이상 투자한다고 한다.
구성 종목은 500개 중 상위 3개만 소개하겠다. 주식 수 기준으로 APPLE Inc가 229.40, MICROSOFT가 110.50, BANK OF AMERICA CORP가 106.00 등이다.
1월, 4월, 7월, 10월에 분배금을 준다. 실제로 상장 이후 총 5번의 분배금을 주당 10원~35원 사이에서 지급했다.
두 종목 다 미국이라는 특정 국가에 집중해 투자하는 상품이다 보니 한국 투자신탁 운용에서 투자위험도 2급(높은 위험)으로 지정했다.
단일 국가에 주로 집중 투자하는 것이 걱정된다면 글로벌 해외 주식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상품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Y, VOO, IVV 비교(s&p 500 etf) (1) | 2022.01.15 |
---|---|
ETF란, ETF 투자방법, ETF 세금 (0) | 2022.01.12 |
주식 배당금 받는 법 (0) | 2022.01.07 |
MACD 같은 보조지표를 장기투자자가 꼭 확인해야 할까 (0) | 2022.01.02 |
주식 추세선 그리는 법 (0) | 2021.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