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투자 정보를 보면 액면가라는 단어를 볼 수 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액면가는 주당 5,000원이다.
실제 차트를 보면 위 회사의 주가는 122,000원 선인데, 1주당 액면가와 호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액면(液面)가 또는 액면금액은 주식 등에서 표면에 드러나있는 금액을 말한다.
기업이 처음 주식을 발행할 때는 상법상 1주당 100원 이상의 금액을 정하게 되는데, 기업에서 가격을 지정하고
상장 후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호가에 따라 시가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업이 최초로 정한 액면가와 주가는 동일하지 않은 것이다.
분할가는 무엇인가. 삼성전자가 액면분할을 한 후 가격이 싸져서 소액 개미들이 매수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액면가가 5,000원인데 이걸 분할해서 1,000원이나 500원으로 나누면 물량이 많아져서 시장에 풀리는 주식 양이 늘어난다. 이때 주가도 액면가가 분할된 비율만큼 나누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1주당 100만 원이었던 주식이 10:1로 액면분할했다면 시장에 주당 10만 원 언저리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예전엔 100만 원이나 주고는 못 샀던 주식이지만 1/10 수준의 가격이라면 기꺼이 지갑을 열 준비가 되어 있는, 두 손들고 환영하는 사람들과 기관들이 많을 것이다.
기존과 동일한 가치를 갖고 있는 주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것이다.
주식 발행 수도 액면분할한 만큼 늘어나게 되는데, 10:1 액면분할 기준으로 기존 50,000주였던 수량이 500,000주로 늘어나게 된다.
과거에 주당 100만 원이었던 주식을 10주 보유하고 있던 사람은 10 대 1 액면 분할 후 100주를 소유하게 되는 셈이니 손해 볼 건 없다.
기업들은 투자자 수를 많이 유치해서 좋고, 나 같은 개미들은 소액으로 우량 기업의 주식을 살 수 있게 되니 일거양득인 셈이다.
이와 같이 액면가를 분할한 가격을 분할가라고 한다.
정리
종합해 보면
액면가(액면금액)는 기업이 최초로 주식을 발행할 때 지정한 금액이고 주가와 크게 관련이 없다.
분할가는 액면가를 일정 비율로 나눈 금액이고 대부분 기업이 투자자 수를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액면분할을 실시한다.
최근 액면 분할한 기업은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 과 'SK 스퀘어'로 인적 분할하고, 액면 분할도 5 대 1, 즉 기존 액면가인 주당 500원을 100원으로 했다.
과거 삼성전자와 카카오 등 내로라하는 기업들도 액면분할을 했었고, 실제 수익으로 이어진 경우도 있었다.
마치며
오늘은 액면가 뜻과 액면금액 뜻, 분할가까지 알아보았다.
투자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라면 액면분할 예정인 기업들을 주시해 보는 것도 좋겠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후시간외거래와 한국증시 거래시간 (0) | 2021.12.22 |
---|---|
EPS PER PBR BPS 란 (0) | 2021.12.20 |
공모주 청약 전에 모의 투자해 봐야 실수 줄인다 (0) | 2021.12.17 |
수서 행복주택 찾아본 글 (0) | 2021.12.11 |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일 년 만에 186% 상승했다 (0) | 2021.12.09 |
댓글